참고 |
참고 사이트 |
참고 도서 |
|
1. 백승민 홈페이지 4. SAS8 도움말 5. SAS9 도움말 |
2. 오라클함수 리스트 3. 통계분석연구회 |
1. SAS Functions by Example (Ron Cody)
SAS 함수에 관한 대부분의 내용을 담고 있는 위 책과 SAS 도움말을 참고로 하였습니다. |
1.배열(Array) |
함수명 | 설명 |
---|---|
136.DIM | 배열에서 원소의 수를 반환한다. |
196.HBOUND |
배열의 상한값 반환 |
246.LBOUND |
ARRAY에 사용된 원소들의 하한값 |
2.비트별 논리 함수(Bitwise Logical Operations) |
함수명 | 설명 |
---|---|
024.BAND | 배열에서 원소의 수를 반환한다. |
027.BLSHIFT |
배열의 상한값 반환 |
028.BNOT |
ARRAY에 사용된 원소들의 하한값 |
029.BOR |
인수의 bitwise logical OR를 반환 |
030.BRSHIFT |
두 인수의 bitwise logical right shift값을 반환 |
031.BXOR |
인수의 bitwise logical 배타적인 OR를 반환 |
3. 문자함수(Character) |
함수명 | 설명 |
---|---|
005.ANYALNUM | 영어와 숫자가 있는 문자에 대한 문자열을 검색하여, 영어와 숫자의 첫 번째 위치 반환 |
006.ANYALPHA |
알파벳 문자에대한 문자열을 검색하여, 알파벳 문자열이 존재하는 첫번째 위치를 반환 |
007.ANYCNTRL |
문자열을 검색하여 제어문자(control -특수)의 첫번째 위치를 반환 |
008.ANYDIGIT |
문자열을 검색하여 숫자(DIGIT)의 첫번째 위치를 반환 |
009.ANYFIRST |
문자열을 검색하여서 validvarname=v7하에서 SAS변수 이름으로 유효한 문자의 첫번째 위치를 반환 |
010.ANYGRAPH |
문자열을 검색하여 그래픽적 문자의 첫번째 위치를 반환 |
011.ANYLOWER |
문자열을 검색하여 소문자의 첫번째 위치를 반환 |
012.ANYNAME |
문자열을 검색하여서 validvarname=v7하에서 SAS변수 이름으로 유효한 문자의 첫번째 위치를 반환 |
013.ANYPRINT |
문자열을 검색하여 인쇄가능한 문자의 첫번째 위치를 반환 |
014.ANYPUNCT |
문자열을 검색하여 구두 문자의 첫번째 위치를 반환 |
015.ANYSPACE |
문자열을 검색하여 공란 문자(Blank,가로탭,세로탭,Carriage Return,line feed,form feed등)의 첫번째 위치를 반환 |
016.ANYUPPER |
문자열을 검색하여 대문자의 첫번째 위치를 반환 |
017.ANYXDIGIT |
문자열을 검색하여 숫자를 재표현한 16진수 문자(1~10, a~f)의 첫번째 위치를 반환 |
032.BYTE |
ASCII 나 EBCDIC 조합순서에서 한개의 문자를 반환 |
034.CALL CATS |
문자열의 앞뒤 공백을 제거한후에 문자열을 연결 |
035.CALL CATT |
문자열의 뒤 공백을 제거한후에 문자열을 연결 |
036.CALL CATX |
문자열의 앞뒤 공백을 제거한 후에 문자열을 연결시키고, 분리자 필요시 삽입 |
037.CALL COMPCOST |
COMPGED함수(97번)에 의해 이용될 운영비용 세팅 |
041.CALL MISSING |
지정한 문자나 숫자변수에서 missing값을 할당(문자와 숫자변수에 각각 할당) |
066.CALL SCAN |
문자에서 주어진 단어의 위치와 length 반환 |
067.CALL SCANQ |
Quotation Mark에 의해 구분된 구분자는 무시하고, 문자에서 주어진 단어의 위치와 length 반환 |
079.CAT |
문자열을 결합한다. |
080.CATS |
앞뒤의 Blank를 제거하여 문자열을 결합 |
081.CATT |
뒤의 Blank를 제거하여 문자열을 결합 |
082.CATX |
앞뒤의 Blank를 제거하고, 구분자를 삽입하여 문자열을 결합 |
087.CHOOSEC |
인수 리스트에서 선택된 문자값을 반환 |
088.CHOOSEN |
인수 리스트에서 선택된 숫자값을 반환 |
093.COALESCEC |
문자인수 리스트에서 첫번째 non-missing값을 반환 |
094.COLLATE |
주어진 범위의 연속된 문자열을 가진 ASCII또는 EBCDIC를 반환 |
096.COMPARE |
두 문자 차이가 있는 것중 가장 왼편의 위치를 반환 차이가 없다면 0을 반환 |
097.COMPBL |
문자열에서 다중 Blank를 제거 |
098.COMPGED |
일반화된 편집 거리 계산에 의해 두 문자 사이의 거리를 계산 |
099.COMPLEV |
Levenshtein 편집 거리 계산에 의해 두 문자의 거리 계산 |
101.COMPRESS |
문자열로부터 지정한 문자 제거 |
107.COUNT |
문자열에서 지정한 단어의 출현 횟수 |
108.COUNTC |
문자열에서 지정한 문자가 출현및 비출현 횟수 |
131.DEQUOTE |
대상문자열로부터 따옴표를 제거 |
164.FIND |
지정한 문자열 안에 지정 문자 위치를 반환 |
165.FINDC |
지정한 문자열 안에 지정 문자의 존재성에 대한 결과 반환 |
202.IFC |
표현이 사실,거짓,missing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문자값 반환 |
203.IFN |
표현이 사실,거짓,missing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숫자값 반환 |
204.INDEX |
문자열에서 해당문자열 단위로 위치를 찾는다 |
205.INDEXC |
문자열에서 해당문자 단위로 위치를 찾는다 |
206.INDEXW |
문자열에서 해당단어 단위로 위치를 찾는다 |
247.LEFT |
문자열을 왼쪽으로 정렬 |
248.LENGTH |
꼬리 blanks포함한 non-blank 문자열의 length반환, Blank 문자열에 대해 1을 반환 |
249.LENGTHC |
trailing blank를 포함한 문자열의 length를 반환 |
250.LENGTHM |
문자열에 할당된 메모리(Byte)의 양을 반환 |
251.LENGTHN |
trailing blanks를 포함한 non-blank 문자열의 length를 반환, blank 문자열에 대해 0을 반환 |
262.LOWCASE |
모든 문자를 소문자로 변환 |
270.MISSING |
인수에 missing값 소유여부를 반환 |
285.NLITERAL |
SAS name literal(n-literal)로 지정한 문자열을 변경한다 |
288.NOTALNUM |
non-alphanumeric 문자에 대한 문자열을 검색하여, 첫번째 위치 반환 |
289.NOTALPHA | non-alphabetic 문자에 대한 문자열을 검색하여, 첫번째 위치 반환 |
290.NOTCNTRL |
문자열을 검색하여 제어문자가 아닌 첫번째 위치 반환 |
291.NOTDIGIT |
문자열을 검색하여 digit가 아닌 첫번째 위치 반환 |
293.NOTFIRST |
validvarname=v7하에서 변수 이름의 첫번째 올수 없는 것을 찾아서 위치반환 |
294.NOTGRAPH |
non-graphical문자를 찾아서 위치 반환 |
295.NOTLOWER |
소문자가 아닌 문자의 첫번째 위치 반환 |
296.NOTNAME |
validvarname=v7하에서 sas변수이름에 올수 없는 문자의 첫번째 위치 반환 |
297.NOTPRINT | non-printable 문자를 검색하여 첫번째 위치 반환 |
298.NOTPUNCT |
구두문자가 아닌 문자를 검색하여 첫번째 위치 반환 |
299.NOTSPACE |
white-space(blank,가로탭,세로탭,캐리지 리턴, 라인 feed,form feed)가 아닌 문자를 검색하여 첫번째 위치 반환 |
300.NOTUPPER |
대문자가 아닌 문자의 첫번째 위치 반환 |
301.NOTXDIGIT |
16진수가 아닌 문자의 첫번째 위치 반환 |
303.NVALID |
SAS 변수 이름으로 사용가능한지를 체크 |
328.PROPCASE |
모든 단어를 proper case 로 변경 |
341.QUOTE |
문자 값에 double quotation marks 추가 |
348.RANK |
ASCII or EBCDIC 대조열에서 문자위치 반환 |
354.REPEAT |
문자표현을 반복 |
356.REVERSE |
문자를 반대로 전환 |
358.RIGHT |
문자열을 오른쪽으로 정렬 |
366.SCAN |
문자열에서 주어진 단어를 분리 |
367.SCANQ |
quotation marks로 둘러쌓인 구분자를 무시하고, 문자열로부터 n번째 단어를 반환 |
376.SOUNDEX |
발음이 유사한 단어들은 같은 soundex 키를 생성 |
377.SPEDIS |
두 단어 사이의 비대칭적 스펠링 거리로써 표현되는 두단어 매칭의 가능성 정의 |
384.STRIP |
앞뒤 Blank를 제거한 문자열을 반환 |
385.SUBPAD |
기본적으로 substr과 같은 함수 |
386.SUBSTR(left of 😃 |
문자값 항목을 대체(왼쪽에 위치) |
387.SUBSTR(right of 😃 |
인수로부터 문자열을 추출(오른쪽에 위치) |
388.SUBSTRN |
zero length를 가진 결과를 허용하는 문자열을 반환 |
409.TRANSLATE |
문자열중 지정한 문자로 변경 |
410.TRANTAB |
지정한 * Translation tables을 이용하여 데이터 문자열을 Transcodes(변경) |
411.TRANWRD |
문자열에서 지정된 문자로 변경 |
413.TRIM |
trailing blanks 제거(대상이 missing 시 one blank 반환) |
414.TRIMN |
trailing blanks 제거(대상이 missing 시 null string (zero blanks) 반환) |
417.UPCASE |
대문자로 변환 |
433.VERIFY |
주어진 문자열과 대상문자열을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 문자의 위치 반환 |
4. 문자열 Matching 함수 |
함수명 | 설명 |
---|---|
046.CALL PRXCHANGE |
패턴 매칭 교체를 수행 |
047.CALL PRXDEBUG |
Perl regular 표현의 디버그 결과를 SAS LOG에 디버그 아웃풋을 데이터 스텝에서 가능하게함 |
048.CALL PRXFREE |
Perl regular 표현에서 할당된 불필요한 메모리를 자유롭게 한다 |
049.CALL PRXNEXT |
한개의 문자열에서 다중 매치 되는 패턴의 length 와 위치를 반환 |
050.CALL PRXPOSN |
capture 버퍼에 대한 시작 위치와 length를 반환 |
051.CALL PRXSUBSTR |
패턴이 매치되는 부분 문자열의 위치와 length를 반환 |
063.CALL RXCHANGE |
패턴이 맞는 한개 이상의 substirng를 변환 |
064.CALL RXFREE |
다른 Regular 표현(RX)함수나 CALL 루틴에의해 할당된 메모리를 초기화 |
065.CALL RXSUBSTR |
패턴이 일치하는 문자열의 위치,length,점수를 확인 |
329.PRXCHANGE |
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변경작업을 수행 |
330.PRXMATCH |
패턴이 일치하는지를 검색하고 위치반환 |
331.PRXPAREN |
패턴이 일치하는 마지막 캡쳐 버퍼의 값을 반환 |
332.PRXPARSE |
문자 형태의 Perl 규칙 표현을 생성 |
333.PRXPOSN |
capture 버퍼에 대한 값을 반환 |
363.RXMATCH |
패턴이 일치하는 substring의 시작을 찾는다 |
364.RXPARSE |
패턴을 분석(정의)한다 |
5. Currency Conversion |
함수명 | 설명 |
---|---|
149.EUROCURR |
6. 날짜와 시간 함수 |
함수명 | 설명 |
---|---|
118.DATDIF |
두 날짜 사이의 차이 계산 |
119.DATE |
SAS 날짜 값으로써 현재 날짜를 반환 |
120.DATEJUL |
Julian 날짜를 SAS date값으로 변환 |
121.DATEPART |
SAS Datetime 값으로부터 날짜를 추출 |
122.DATETIME |
현재 날짜와 시간을 SAS datetime 값으로 리턴한다 |
123.DAY |
SAS 데이터 값으로부터 일을 반환 |
133.DHMS |
날짜,시간,분,초 값을 입력하여 SAS DATETIME 값으로 반환 |
197.HMS |
시간,분,초를 입력하여 SAS시간으로 변환 |
198.HOUR |
SAS 시간이나 datetime 값에서 시간값 반환 |
211.INTCK |
2개의 날짜,시간,datetime 등의 차이를 구해 정수값 반환 |
212.INTNX |
주어진 구간만큼, 날짜,시간,datetime등을 증가 |
219.JULDATE |
SAS 데이터 값으로 부터 Julian date 반환 |
220.JULDATE7 |
SAS 데이터 값으로 부터 7자리 Julian date 반환 |
265.MDY |
월,일,년을 입력하여 SAS date 값을 반환 |
269.MINUTE |
SAS TIME 또는 datetime으로 부터 분을 반환 |
277.MONTH |
SAS date 값으로 부터 월을 반환 |
282.NLDATE |
sas date값을 date format 서술자에 의해 지정된 locale의 date값으로 변환 |
283.NLDATM |
sas datetime을 datetime format 서술자에 의해 지정된 locale의 time값으로 변환 |
284.NLTIME |
sas time을 time format 서술자에 의해 지정된 locale의 time값으로 변환 |
339.QTR |
SAS date 값으로부터 분기를 반환 |
369.SECOND |
SAS time 이나 datetime 값에서 초를 반환 |
404.TIME |
현재 시간 반환 |
405.TIMEPART |
SAS datetime값으로부터 시간 값 추출 |
408.TODAY |
현재 날짜 반환 |
464.WEEK |
주차 반환 |
465.WEEKDAY |
SAS date 값으로부터 요일 반환 |
466.YEAR |
SAS date 값으로부터 년 반환 |
468.YRDIF |
두 date 사이의 년도 차이 |
469.YYQ |
년과 분기로부터 SAS date값 반환 |
7. DBCS 함수 |
8. 기술통계량 함수 |
함수명 | 설명 |
---|---|
109.CSS | 수정제곱합계산 |
111.CV |
변이계수 |
189.GEOMEAN |
기하평균값 반환 |
190.GEOMEANZ |
zero fuzzing를 이용하여 기하평균값 반환 |
194.HARMEAN |
조화평균 |
195.HARMEANZ |
zero fuzzing을 이용하여 조화평균 계산 |
216.IQR |
사분위수 범위를 반환 |
242.KURTOSIS |
첨도 반환 |
245.LARGEST |
non-missing값중에서 k번째 큰값 반환 |
263.MAD |
중위수로 부터 중위절대편차를 계산 |
264.MAX |
가장 큰 값을 반환 |
266.MEAN |
평균을 계산 |
267.MEDIAN |
중위수를 계산 |
268.MIN |
최소값 계산 |
280.N |
nonmissing 값의 수를 반환 |
286.NMISS |
missing 값의 수 |
305.ORDINAL |
지정한 순서 통계량을 반환 |
307.PCTL |
백분위수계산 |
347.RANGE |
값의 범위를 반환 |
359.RMS |
제곱평균제곱근계산 |
373.SKEWNESS |
첨도 계산 |
375.SMALLEST |
k번째 가장작은 nonmissing값을 반환 |
379.STD |
표준편차 계산 |
380.STDERR |
표준오차 계산 |
389.SUM |
nonmissing 인수의 sum을 반환 |
420.USS |
비수정제곱합 |
422.VAR |
분산 |
9. 외부 파일(External Files) 함수 |
함수명 | 설명 |
---|---|
124.DCLOSE | 디렉토리를 닫는다 |
125.DCREATE |
외부 디레토리를 생성 |
137.DINFO |
디렉토리에 관한 정보 반환 |
138.DNUM |
디렉토리에서 멤버의 수를 반환 |
139.DOPEN |
디렉토리 OPEN |
140.DOPTNAME |
디렉토리 속성 정보 반환 |
141.DOPTNUM |
디렉토리에 이용 가능한 정보 아이템의 수를 반환 |
142.DREAD |
디렉토리 구성원의 이름 반환 |
153.FAPPEND |
외부파일 끝에 현재 레코드를 추가. |
154.FCLOSE |
외부파일, 디렉토리, 디렉토리 멤버를 닫는다. |
155.FCOL |
파일 데이터 버퍼에서 현재 칼럼 위치를 반환 |
156.FDELETE |
외부파일 삭제 |
159.FEXIST |
fileref와 연관된 외부파일의 존재성을 입증 |
160.FGET |
파일 데이터 벡터(FDB)로부터 변수에 데이터 복사 |
161.FILEEXIST |
외부파일의 물리적 이름에 의해 외부파일의 존재성 입증 |
162.FILENAME |
외부파일,디렉토리,아웃풋 디바이스에 대한 참조명을 할당 또는 삭제 |
163.FILEREF |
현재 SAS섹션에 fileref이 할당되었는지 확인 |
166.FINFO |
파일 정보 항목을 반환 |
174.FNOTE |
읽혀진 마지막 레코드를 확인하고, 파일 위치를 표시하여서 어플리케이션이 나중에 Fpoint를 이용하여 그 위치로 돌아올수 있도록 할수있다. |
175.FOPEN |
외부파일을 연다 |
176.FOPTNAME |
파일에 관한 정보의 항목이름을 반환 |
177.FOPTNUM |
외부파일에 대한 활용되는 정보 항목의 수를 반환 |
178.FPOINT |
읽혀진 다음 레코드에 READ 포인터를 배치 |
179.FPOS |
파일 데이터 버퍼(FDB)에서 칼럼 포인터의 위치를 설정한다 |
180.FPUT |
SAS 데이터 세트에서 FDB로 데이터를 이동 |
181.FREAD |
외부파일에서 FDB로 레코드를 읽는다 |
182.FREWIND |
파일의 시작에 파일 포인터를 배치하고 값을 반환 |
183.FRLEN |
마지막으로 레코드가 읽은 사이즈를 반환하거나, 만약 파일이 OUTPUT으로 열렸다면 현재 레코드 사이즈를 반환 |
184.FSEP |
FGET함수를 위해 구분자를 설정 |
186.FWRITE |
외부파일에 레코드를 기록 |
10.외부루틴(External Routines) 함수 |
함수명 | 설명 |
---|---|
042.CALL MODULE | return code 없이 외부 루틴(windows API)을 호출 |
043.CALL MODULEI | retrun code 없이 외부 루틴을 호출(IML 환경에서 사용) |
272.MODULEC | 외부루틴을 호출하여 문자값을 반환 |
273.MODULEIC | 외부루틴을 호출하여 문자값 반환(IML환경) |
274.MODULEIN | 외부루틴을 호출하여 숫자값 반환(IML환경) |
275.MODULEN | 외부루틴을 호출하여 숫자값 반환 |
278.MOPEN | 디렉토리 아이디와 멤버 이름에 의해 파일을 연다 |
11.재무(Financial) 함수 |
12.Hyperbolic 함수 |
함수명 | 설명 |
---|---|
106.COSH | Hyperbolic 코사인값 반환 |
372.SINH |
hyperbolic sine 계산 |
403.TANH |
hyperbolic tangent를 반환 |
13.매크로(Macro) 함수 |
함수명 | 설명 |
---|---|
038.CALL EXECUTE | 인수를 분석하고, 실행을 위하여 분석된 값을 발행 |
073.CALL SYMPUT |
macro 변수에 데이터 step 정보를 할당 |
074.CALL SYMPUTX |
앞뒤의 BLANK를 제거하고 Macro변수에 값을 할당 |
355.CALL SYMPUTX |
매크로 기능(facility)으로 실행되어서 할당된 값을 반환 |
390.SYMEXIST |
macro 변수의 존재성을 반환 |
391.SYMGET |
데이터 스텝 실행동안 macro변수의 값을 반환 |
392.SYMGLOBL |
데이터 스텝 실행동안 global scope(전역범위)안에 macro변수의 존재성 여부 반환 |
393.SYMLOCAL |
데이터 스텝 실행동안 local scope(지역범위)안에 macro변수의 존재성 여부 반환 |
14.수리(Mathematical) 함수 |
함수명 | 설명 |
---|---|
001.ABS | 주어진 인수의 절대값을 반환 |
004.AIRY |
AIRY 함수값을 반환 |
025.BETA |
베타 함수값을 반환 |
033.CALL ALLPERM |
변수들의 가능한 모든 순열값 생성 |
040.CALL LOGISTIC |
로지스틱 함수의 값을 반환 |
070.CALL SOFTMAX |
softmax값을 반환 |
071.CALL STDIZE |
한개이상의 변수의 값을 표준화 |
076.CALL TANH |
Hyperbolic tangent 값을 반환 |
091.CNONCT |
비중심 카이제곱 분포로부터 비중심 모수를 반환 |
092.COALESCE |
숫자 인수 리스트에서 첫번째 missing이 아닌값을 반환 |
095.COMB |
n개중에서 r개의 조함의 수를 계산 |
102.CONSTANT |
몇가지 machine과 수학적 상수를 계산 |
117.DAIRY |
Airy함수의 미분계수를 반환 |
132.DEVIANCE |
편차를 계산 |
135.DIGAMMA |
DIGGAMMA 함수의 값을 반환 |
147.ERF |
오차함수의 값을 반환 |
148.ERFC |
오차함수의 여함수 |
151.EXP |
지수 함수 값을 반환 |
152.FACT |
지수 함수 값을 반환 |
173.FNONCT |
F분포의 비중심 모수의 값을 반환 |
188.GAMMA |
감마분포의 값 반환 |
201.IBESSEL |
수정된 bessel함수값을 반환 |
218.JBESSEL |
bessel 함수값 반환 |
252.LGAMMA |
감마함수의 자연로그값을 반환 |
255.LOG |
자연로그 |
256.LOG10 |
상용로그 |
257.LOG2 |
로그 |
258.LOGBETA |
로그 베타함수 계산 |
271.MOD |
나머지값 반환 |
276.MODZ |
zero fuzz를 이용하여 나머지 값 반환 |
313.PERM |
순열 계산 |
370.SIGN |
값의 부호계산 |
378.SQRT |
제곱근값 계산 |
407.TNONCT |
student's t 분포로부터 비중심 모수의 값을 반환 |
412.TRIGAMMA |
Trigamma 함수의 값 |
15.확률(Probability) 함수 |
함수명 | 설명 |
---|---|
083.CDF | 누적분포함수를 계산 |
259.LOGCDF |
로그 왼쪽 누적 분포 함수 계산 |
260.LOGPDF |
로그 확률밀도함수 계산 |
261.LOGSDF |
로그 생존함수 계산 |
308.PDF |
확률밀도함수계산 |
315.POISSON |
포아송 분포로부터 확률계산 |
316.PROBBETA |
베타분포로부터 확률계산 |
317.PROBBNML |
이항분포 |
318.PROBBNRM |
이항정규분포 |
319.PROBCHI |
chi-squared 분포 |
320.PROBF |
F분포 |
321.PROBGAM |
감마분포 |
322.PROBHYPR |
초기하분포 |
324.PROBMC |
다양한 분포에 대해 확률 또는 분위수의 값 계산 |
325.PROBNEGB |
음이항분포 |
326.PROBNORM |
표준정규분포 |
327.PROBT |
t분포 |
368.SDF |
생존함수를 계산 |
16.분위수(Quantile) 함수 |
함수명 | 설명 |
---|---|
026.BETAINV | 베타분포로 부터 분위수를 반환 |
089.CINV |
카이제곱분포에서 백분위수를 계산 |
167.FINV |
F분포의 분위수 반환 |
187.GAMINV |
감마분포의 분위수 |
323.PROBIT |
표준정규분포의 백분위수 |
340.QUANTILE |
지정한 분포로부터 백분위수 계산 |
406.TINV |
t분포의 백분위수 |
17.난수(Random Number)함수 |
함수명 | 설명 |
---|---|
052.CALL RANBIN | 이항분포 난수 생성 |
053.CALL RANCAU |
caucht 분포를 따르는 난수 생성 |
054.CALL RANEXP |
지수분포를 따르는 난수 생성 |
055.CALL RANGAM |
감마분포를 따르는 난수 생성 |
056.CALL RANNOR |
정규분포를 따르는 난수 생성 |
057.CALL RANPERK |
인수의 값을 랜덤하게 순열배치하거나, n개 중에서 k개 순열을 반환 |
058.CALL RANPERM |
인수의 값을 랜덤하게 순열한다. |
059.CALL RANPOI |
포아송분포를 따르는 난수 생성 |
060.CALL RANTBL |
테이블로 지정된 이산형분포를 따르는 난수 생성 |
061.CALL RANTRI |
삼각형분포를 따르는 난수 생성 |
062.CALL RANUNI |
균일분포를 따르는 난수 생성 |
072.CALL STREAMINIT |
RAND 함수에 의해 다음에 생성하는 random number generation에 이용하는 seed 값 지정 |
287.NORMAL |
표준정규분포를 따르는 변량 생성 |
342.RANBIN |
이항 분포로부터 난수 생성 |
343.RANCAU |
코쉬 분포로부터 난수 생성 |
344.RAND |
지정분포를 따르는 난수 생성 |
345.RANEXP |
지수분포로부터 난수 생성 |
346.RANGAM |
감마분포로부터 난수 생성 |
349.RANNOR |
정규분포로부터 난수 생성 |
350.RANPOI |
포아송분포로부터 난수 생성 |
351.RANTBL |
테이블로 지정된 이산형분포로부터 난수 생성 |
352.RANTRI |
삼각분포로부터 난수 생성 |
353.RANUNI |
균일분포로부터 난수 생성 |
416.UNIFORM |
균일분포로부터 난수 생성 |
18.SAS File 입출력(I/O) 함수 |
함수명 | 설명 |
---|---|
022.ATTRC | SAS 데이터 세트의 문자 속성값을 반환 |
023.ATTRN |
지정한 데이터세트의 숫자 속성값을 반환 |
086.CEXIST |
SAS 카탈로그나 SAS 카탈로그 엔트리의 존재성 확인 |
090.CLOSE |
SAS 데이터 세트를 닫는다. |
110.CUROBS |
현재 관측치(메모리상에있는 관측치의)의 관측치 번호를 반환 |
143.DROPNOTE |
SAS 데이터세트나 외부파일에서 노트 마크(observation ID)를 지운다. |
144.DSNAME |
데이터 set 식별자와 연관있는 데이터 SET 이름을 반환 |
150.EXIST |
SAS 데이터 라이브러리 멤버의 존재성을 확인 |
157.FETCH |
SAS 데이터 SET 으로부터 "데이터 SET 데이터 벡터(DDV)"에 다음 지워지지 않은 관측치를 읽는다. |
158.FETCHOBS |
SAS 데이터 세트로 부터 데이터 SET 데이터 벡터(DDV)로 지정한 관측치를 읽는다 |
192.GETVARC |
SAS데이터 세트 문자변수의 값을 반환 |
193.GETVARN |
SAS데이터 세트 숫자변수의 값을 반환 |
215.IORCMSG |
_IORC_ 값이 기대되지 않는 값을 반환한다면 에러메시지 반환 |
253.LIBNAME |
SAS 데이터 세트에 대한 라이브러리 참조자를 할당하거나 초기화 |
254.LIBREF |
라이브러리 참조자가 할당되었는지 확인 |
292.NOTE |
SAS 데이터 세트의 현재 관측치에 대한 관측치 아이디 반환 |
304.OPEN |
SAS 데이터 세트를 연다 |
306.PATHNAME |
SAS 데이터 라이브러리나 외부 파일의 물리적 이름을 반환 |
314.POINT |
NOTE함수에 의해 확인된 위치에 관측치를 이동시키고, 값을 반환 |
357.REWIND |
SAS 데이터 세트의 처음에 데이터 세트의 포인터를 이동 |
395.SYSMSG |
마지막 데이터 세트나 외부 파일 함수 실행으로 부터 에러메시지나 경고 메시지 반환 |
400.SYSRC |
시스템 에러 number 반환 |
423.VARFMT | SAS 데이터 세트 변수에 할당된 포팻을 반환 |
424.VARINFMT |
SAS 데이터 세트 변수에 할당된 informat을 반환 |
425.VARLABEL |
SAS 데이터 세트 변수에 할당된 라벨을 반환 |
426.VARLEN |
SAS 데이터 세트 변수에 할당된 length를 반환 |
427.VARNAME |
SAS 데이터 세트 변수의 이름을 반환 |
428.VARNUM |
SAS 데이터 세트에서 SAS 데이터 세트 변수의 위치의 값을 반환 |
432.VARTYPE |
SAS 데이터 세트 변수의 데이터 Type을 반환 |
19.특수(Special)함수 |
함수명 | 설명 |
---|---|
002.ADDR | 32비트 프랫폼에서 숫자 변수가 할당된 메모리 주소를 반환 |
003.ADDRLONG |
32비트와 64비트 프랫폼에서 문자 변수가 할당된 메모리 주소를 반환 |
044.CALL POKE |
32비트 플랫폼에서 메모리에 직접 값을 쓴다. |
045.CALL POKELONG |
32bit와 64bit 플래폼 메모리에 직접 값을 기록 |
069.CALL SLEEP |
지정한 시간동안 프로그램 실행을 중지 |
075.CALL SYSTEM |
실행을 위해 운영 환경 명령어를 submits한다. |
134.DIF |
인수와 n번째 lag와의 차이를 계산 |
191.GETOPTION |
SAS 시스템이나 그래픽 옵션의 값을 반환 |
207.INPUT |
지정한 informat 표현으로 읽어서 만들어진 값을 반환 |
208.INPUTC |
실행동안 문자 informat 을 지정 |
209.INPUTN |
실행동안 숫자 informat 을 지정 |
244.LAG |
큐로부터 값을 반환 |
309.PEEK |
32비트 platform에서 숫자변수의 메모리 주소의 항목을 저장한다. |
310.PEEKC |
메모리에서 문자변수에 대한 지정한 위치(주소)에 저장된 데이터를 Access한다. |
311.PEEKCLONG |
32비트와 64비트 platforms에서 문자 변수에 대한 메모리의 데이터를 Access |
312.PEEKLONG |
32비트와 64비트 platforms에서 숫자 변수에 대한 메모리의 데이터를 Access |
334.PTRLONGADD |
문자변수로써 포인터 주소 반환 |
335.PUT |
지정한 포맷을 이용하여 값을 반환 |
336.PUTC |
실행중에 문자 포맷을 지정 |
337.PUTN |
실행중에 숫자 포맷지정 |
374.SLEEP |
지정한 시간동안 프로그램 실행을 중지 |
394.SYSGET |
지정한 HOST 환경 변수의 값을 반환(이용 환경에 종속됨) |
396.SYSPARM |
system parameter 문자열 반환 |
397.SYSPROCESSID |
현재 프로세스의 프로세스 아이디 반환 |
398.SYSPROCESSNAME |
주어진 프로세스와 연관된 프로세스 이름이나 현재 프로세스의 이름 반환 |
399.SYSPROD |
SAS Product가 인증되었는지 확인 |
401.SYSTEM |
SAS session 동안에 운영 환경 command을 실행하고, 시스템 return code를 반환 |
421.UUIDGEN |
UUID의 short 나 binary form을 반환 |
20.State and ZIP Code |
함수명 | 설명 |
---|---|
168.FIPNAME | |
169.FIPNAMEL | |
170.FIPSTATE | |
381.STFIPS | |
382.STNAME | |
383.STNAMEL | |
470.STNAMELZIPCITY | |
471.ZIPFIPS | |
472.ZIPNAME | |
473.ZIPNAMEL | |
474.ZIPSTATE |
21.삼각(Trigonometric) 함수 |
함수명 | 설명 |
---|---|
018.ARCOS | ARCCOSINE값 반환 |
019.ARSIN |
ARCSINE값 반환 |
020.ATAN |
TANGENT값 반환 |
021.ATAN2 |
2개 숫자변수의 ARC TANGENT값을 반환 |
105.COS |
코사인값 반환 |
371.SIN |
sine계산 |
402.TAN |
tangent를 반환 |
22.절단(Truncation) 함수 |
함수명 | 설명 |
---|---|
084.CEIL | 인수보다 같거나 큰 정수중 가장 작은 정수를 반환한다.
인수가 정수의 1E-12안에 있으면, 함수는 정수로 반환 |
085.CEILZ |
zero fuzzing을 이용하여 인수보다 같거나 큰 정수중 가장 작은 정수를 반환한다 |
171.FLOOR |
변수보다 작은수중 제일 큰수 반환 |
172.FLOORZ |
zero fuzzing을 이용하여 인수보다 같거나 작은 정수중 가장 큰 정수를 반환한다. |
185.FUZZ |
만약 인수가 1E-12안에 있다면 가장 가까운 정수 반환 |
210.INT |
정수값 반환 |
214.INTZ | |
360.ROUND |
두번째 인수의 가장가까운 배수로 첫번째 인수를 반올림 하거나 생략시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 주어진 인수를 가장 가까운 반올림 단위에서 반올림 |
361.ROUNDE |
두번째 인수의 가장가까운 배수로 첫번째 인수를 반올림 하고, 첫번째 인구삭 두번째 인수가 가장 가까운 배수사이의 중간일때 짝수 배수를 반환 |
362.ROUNDZ |
zero fuzzing을 이용하여 두번재 인수의 가장 가까운 배수로 반올림 |
415.TRUNC |
인수를 length에 지정한 것만큼 절단하여 반환 |
23.변수통제(Variable Control) 함수 |
함수명 | 설명 |
---|---|
039.CALL LABEL | 지정한 문자 변수에 대해 변수 라벨을 할당 |
068.CALL SET |
SAS 데이터 세트 변수를 DATA STEP 이나 같은 이름이나 타입을 가진 Macro변수와 연결 |
077.CALL VNAME |
지정한 변수값으로써 변수 이름을 할당 |
24.변수 정보(Variable Information) 함수 |
함수명 | 설명 |
---|---|
078.CALL VNEXT | 데이터 STEP에 이용되는 변수의 이름,Type,length를 반환 |
429.VARRAY |
지정된 변수의 배열여부반환 |
430.VARRAYX |
지정한 인수의 값이 배열인지 여부 반환 |
431.VARTRANSCODE |
SAS 데이터 Set 변수의 transcode 여부 반환 |
434.VFORMAT |
지정한 변수와 연관된 포맷 반환 |
435.VFORMATD |
지정한 변수와 연관된 포맷 decimal 값 반환 |
436.VFORMATDX |
지정한 인수의 값과 연관된 포맷 decimal 값 반환 |
437.VFORMATN |
지정한 변수와 연관된 포맷 이름 반환 |
438.VFORMATNX |
지정한 인수의 값과 연관된 포맷이름 반환 |
439.VFORMATW |
지정한 변수와 연관된 포맷 길이 반환 |
440.VFORMATWX |
지정한 인수의 값과 연관된 포맷 길이 반환 |
441.VFORMATX |
지정한 인수의 값과 연관된 포맷 반환 |
442.VINARRAY |
지정한 변수가 배열의 일원인지 여부를 반환 |
443.VINARRAYX |
지정한 인수의 값이 배열의 일원인지 여부를 반환 |
444.VINFORMAT |
지정한 변수와 연관된 informat 반환 |
445.VINFORMATD |
지정한 변수와 연관된 informat decimal값을 반환 |
446.VINFORMATDX |
지정한 인수의 값과 연관된 informat decimal 값을 반환 |
447.VINFORMATN |
지정한 변수와 연관된 informat 이름 반환 |
448.VINFORMATNX |
지정된 인수의 값과 연관된 informat 이름을 반환 |
449.VINFORMATW |
지정된 변수와 연관된 informat 길이를 반환 |
450.VINFORMATWX |
지정된 인수의 값과 연관된 informat 길이를 반환 |
451.VINFORMATX |
지정된 인수의 값과 연관된 informat을 반환 |
452.VLABEL |
지정된 변수와 연관된 Label반환 |
453.VLABELX |
지정된 인수의 값에 대한 변수 Label반환 |
454.VLENGTH |
지정된 변수의 compile-time(할당된) size 반환 |
455.VLENGTHX |
지정된 인수에 대한 compile-time(할당된) size 반환 |
456.VNAME |
지정된 변수의 이름을 반환 |
457.VNAMEX |
변수 이름으로써 지정된 인수의 값 반환 |
458.VTRANSCODE |
transcoding가 지정된 문자 변수에 on,off여부를 반환 |
459.VTRANSCODEX |
transcoding가 지정된 인수에 on,off여부를 반환 |
460.VTYPE |
지정된 변수의 TYPE반환 |
461.VTYPEX |
지정된 인수의 값에 대한 TYPE반환 |
462.VVALUE |
지정한 변수와 연관된 format된 값을 반환 |
463.VVALUEX |
지정한 인수와 연관된 format의 값 반환 |
25.Web Tools 함수 |
함수명 | 설명 |
---|---|
199.HTMLDECODE | HTML numeric character references(수치 글자 참조)나 character entity reference(글자 엔티티(entity) 참조)를 가진 문자열을 변환하고, 변환문자열을 반환 |
200.HTMLENCODE |
character entity reference(글자 entity 참조)를 이용하여 문자를 변환하고 변환된 값을 반환 |
418.URLDECODE |
URL 인코드 문자열을 디코드 |
419.URLENCODE |
문자열을 URL 인코드 |
2006년 백승민 제작하였답니다.
( http://cafe.daum.net/statsas )
Join us for SAS Innovate 2025, our biggest and most exciting global event of the year, in Orlando, FL, from May 6-9.
Early bird rate extended! Save $200 when you sign up by March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