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markSubscribeRSS Feed

EG tip for Base User

Started ‎06-09-2020 by
Modified ‎06-09-2020 by
Views 545

최근 보안이슈로 인해 분석 툴을 SAS Base(이하 Base)에서 SAS Enterprise Guide(이하 EG)로 바꾸는 기업들이 늘고 있습니다. 수년간 Base만 사용해 오던 사람들은 답답함을 호소합니다. Base 사용자들은 라이브러리창과 프로그래밍창 로그창을 익숙한 위치에 셋팅하고, 익숙한 글씨체와 익숙한 색깔의 경고글씨들을 보고 싶어 합니다.

그분들을 위해서 EG에서 어떻게 Base처럼 구현할 수 있는지, 달라진 점은 무엇인지, 특히 더 좋아진 점은 무엇인지 알려드리는 글을 게시하려고 합니다.

혹시 더 좋은 방법이 있다거나, 궁금한 점, 게시글의 오류 등을 덧글로 남겨주시면 더 좋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간들이 될 것 같습니다.

 

local vs server

Base는 설치한 후 바로 local 환경에서, 즉, 프로그램 자체가 엔진이자 툴이 되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서버연결 설정을 하면 서버에 붙어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EG는 EG만 설치해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반드시 따로 SAS Base를 설치하여 local환경에서 사용하거나, 서버에 연결해야 합니다. 쉽게 말하자면 EG는 터미널이고, 이를 운용하기 위한 엔진을 연결해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EG는 Base에 비해 가벼워 설치 시간이 짧습니다.

[그림 1-1]

SE22019040514213970.png

 

어떻게 연결해야 할까요?

EG를 설치하고 열어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SAS 설치 관련 자료 링크)

[그림 1-2]

SE22019040514215270.png

 

만약, PC에 EG와 Base를 함께 설치하셨다면 다른 작업이 없이 바로 local 환경에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버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작업을 하셔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SAS Korea 홈페이지 참조)

  1.  관리자 권한으로 메모장을 실행합니다.

[그림 1-3]

SE22019040514224770.png

 

  1.  메모장 메뉴바에서 [파일 > 열기] 를 클릭합니다.

[그림 1-4]

SE22019040514225770.png

 

  1. “C:\Windows\System32\drivers\etc” 폴더의 hosts 파일을 엽니다. (우측 하단의 파일 유형을 “모든 파일”로 변경)

[그림 1-5]

SE22019040514230970.png

 

  1.  문서 하단에 연결할 SAS Server IP와 Hostname 등록 후 저장합니다.

[그림 1-6]

SE22019040514232070.png

​ 

 

  1. EG를 열고 화면 하단의 문구를 클릭합니다.

[그림 1-7]

SE22019040514233170.png

 

  1.  박스 오른쪽의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1-8]

SE22019040514240970.png

 

  1.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1-9]

SE22019040514241870.png

 

  1.  사용 서버를 선택한 후 우측의 [활성화] 버튼을 누르고 [닫기]를 클릭합니다.

[그림 1-10]

SE22019040514243370.png

 

  1.  연결 상태를 확인합니다.

[그림 1-11] 

SE22019040514244470.png

이제 EG를 사용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그럼 Base와 비슷하게 setting 해볼까요?

 

 

Set up

프로그래밍 작업은 편집기에서 할 수 있습니다.

작업 공간에서 우클릭 후 [새로 만들기 > 프로그램] 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그림 1-12]

SE22019040514250270.png

 

 

혹은 메뉴바에서 [파일 > 새로 만들기 > 프로그램] 으로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그림 1-13]

SE22019040514251470.png

 

프로그래밍 방법은 Base와 똑같습니다.

그런데, Base에서는 로그창을 함께 보며 작업을 했었지요? 그런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화면 분할]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각자 화면 셋팅 방법은 다르실 테니, 제가 쓰는 모양을 예시로 보여 드리겠습니다.

우선 간단한 코딩을 하나 하겠습니다. 특정 폴더를 라이브러리 할당한 후 실행합니다. 실행 버튼은 Base와 똑같이 [F3]키를 누르시면 됩니다.

[그림 1-14]

SE22019040514252670.png

 

실행 후 [로그] 탭이 생겼습니다. 이 곳을 클릭하면 로그를 볼 수 있으나, 역시 익숙한 방법으로 한 화면에서 보고 싶습니다.

프로그램 창을 연 상태에서 메뉴바의 [보기 > 작업 공간 레이아웃 > 가로 분할]을 클릭합니다.

[그림 1-15]

SE22019040514253770.png

 

그러면 화면이 프로그램창과 로그창을 동시에 볼 수 있도록 셋팅이 됩니다.

[그림 1-16]

SE22019040514254870.png

 

이 상태에서 로그창과 프로그램창 위치를 바꾸시고 싶으시면, 상단의 프로그램창의 [로그]탭을 클릭하면 아래 위 창이 연동되어 바뀌게 됩니다.

 

다음 시간에도 EG 깨알 팁으로 찾아 뵙겠습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Version history
Last update:
‎06-09-2020 05:25 AM
Updated by:
Contributors

sas-innovate-wordmark-2025-midnight.png

Register Today!

Join us for SAS Innovate 2025, our biggest and most exciting global event of the year, in Orlando, FL, from May 6-9. Sign up by March 14 for just $795.


Register now!

Article Labels
Article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