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Base 사용자들을 위한 EG tip을 몇 가지 살펴보겠습니다.
단축키
[프로그램 편집기]를 연 상태에서, 메뉴바의 [프로그램 > 확장 편집기 키] 를 클릭합니다.
[그림 3-1]
이곳에서 여러 가지 단축키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새로운 단축키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몇 가지 유용한 단축키를 소개하겠습니다.
- 대문자 소문자 변환
ctrl+shift+U : 선택한 코드를 소문자에서 대문자로 바꿉니다.
ctrl+shift+L : 선택한 코드를 대문자에서 소문자로 바꿉니다.
[그림 3-2]
- 괄호 찾기
닫히는 쪽 괄호 뒤에 커서를 두고, “ctrl+[“, “ctrl+]“, “ctrl+9“, “ctrl+0“ 중 하나를 누르면, 짝을 이루는 괄호 앞쪽으로 이동합니다.
[그림 3-3]
- 자동 줄 맞추기
줄이 맞지 않는 코드를 읽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그럴 때 코드를 블록을 잡아 선택하고 “shift+tab” 을 눌러 왼쪽으로 붙인 후에 “ctrl+I” 를 누르면, 자동으로 줄을 정렬합니다.
[그림 3-4]
한글판 도움말
sas 코딩을 하다가 “F1”을 눌러 도움말을 보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나오는 결과가 영어이기 때문에, 영어가 익숙하신 분이 아니라면 도움말을 찾아도 찾은 게 아닌 기분이 듭니다. 구글링을 해도 영문 결과가 더 많은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그런데, EG에 한글판 도움말이 숨겨져 있습니다.
[그림 3-5]
메뉴바에서 [작업 > 데이터 > 질의 빌더]를 클릭합니다.
“질의 빌더” 창의 오른쪽 중간을 보시면 파란 계산기 모양의 [새로운 계산 칼럼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3-6]
[새로운 계산된 칼럼] 창에서 [고급 표현식]을 선택한 후 하단의 [다음] 버튼을 누릅니다.
[그림 3-7]
두 번째 창 하단 좌측에 “함수” 부분의 [+]를 클릭합니다.
먼저 맨 위에 나오는 ABS함수를 클릭해 보겠습니다. 한글로 된 설명이 오른쪽 창에 출력 되지요?
[그림 3-8]
심지어 복사도 가능하기 때문에 저는 쭉 붙여서 파일 하나에 저장해 놓고 필요할 때 검색해서 씁니다. 전체 선택후 ctrl C ctrl V 하면 여러 개의 함수가 한번에 붙여 넣어지므로 조금만 수작업 하시면, 한글판 도움말 파일을 제작하실 수 있습니다. EG로 작업하다 직접 찾은 꿀팁(?) 중 하나 입니다.
감사합니다.
Join us for SAS Innovate 2025, our biggest and most exciting global event of the year, in Orlando, FL, from May 6-9.
Early bird rate extended! Save $200 when you sign up by March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