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markSubscribeRSS Feed

[SAS 활용 노하우] 선형회귀

Started ‎12-18-2022 by
Modified ‎12-18-2022 by
Views 597

 

 

통계학을 공부하는 분이라면 회귀분석에 대한 개념은 한번쯤 들어보셨을 것 입니다.

회귀분석을 간단히 말하면 '원인과 결과의 연관을 찾는 것' 입니다.

즉, 변수 X(원인)가 변수 y(결과)에 주는 영향을 아기 위한 방법으로 변수 X와 변수 Y 사이에 있는 관계를 직선 또는 곡선의 식으로 나타낸 것 입니다.

 

회귀분석을 통해서 a회사의 광고비(원인)가 매출(결과)에 주는 영향을 추정하여 결과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회귀분석을 통해서 원인이 결과에 주는 정도 또는 영향을 수치화할 수 있으며 예측 등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추정된 회귀선이 통계적으로 의미가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회귀식의 이론 모델은 아래와 같습니다.

 

 

image.png

 

 

 

변수 Y: 종속변수 또는 목적변수

변수 X: 독립변수 또는 예측변수

a: 모회귀계수 절편

B: 기울기(파라미터)

u: 오차항

 

여기서 오차항은 변수 X이외의 요인이 변수 Y에 주는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오차항은 확률변수로 나타냅니다 .

 

회귀분석에는 아래와 같이 2가지의 회귀분석이 있습니다.

● 단순선형 회귀

● 다중선형 회귀

 

 

 

선형회귀분석에서 사용할 변수들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설명변수(Explanatory Variables): 설명변수를 지정하지 않으면 상수항만 가진 모형이 됩니다.

● 그룹 분석변수(Group Analysis by): 그룹별로 회귀분석을 수행

● 빈도변수(Frequency Count): 관측치에 대한 빈도를 의미

● 상대 가중값 변수(Relative Weight): 가중 최소 제곱합을 위한 상대 가중값으로 사용할 변수를 의미. 음수가 없이 설정되어야 하며 1개의 변수만 지정할 수 있다.

 

 

Version history
Last update:
‎12-18-2022 08:50 AM
Updated by:
Contributors

hackathon24-white-horiz.png

The 2025 SAS Hackathon Kicks Off on June 11!

Watch the live Hackathon Kickoff to get all the essential information about the SAS Hackathon—including how to join, how to participate, and expert tips for success.

YouTube LinkedIn

Article Labels
Article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