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분산 분석은 Analysis of Covariance로 실험의 오차를 줄이는 방법이다.
공분산 분석은 통제가 불가능한 장애요인과 반응변수와 선형관계가 있을 때 공분산 분석에 적합합니다.
a 교사가 3가지 다른 교육도구를 사용해서 학생들에게 교육을 시킨 후 최종성적으로 평가를 진행한다.
이 때, 지능지수는 통제가 불가능한 장애요인으로 이를 covariance 공변수라고 합니다.
공변수는 임의로 조절할 수 없고 최종성적(반응변수)와 함께 처리요인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 공분산분석 예시
3가지의 비료(A,B,C)를 사용해서 4개의 블록의로 구성된 농지에서 실험을 시행합니다.
각 농지에는 한가지 비료만을 사용해서 실험을 수행하였습니다. 여기서 농지의 비옥함은 통제가 불가능한 장애요인입니다.
data example;
input Block $ Fertilizer $ Yield @@;
datalines;
1 A 3.1 1 B 2.9
1 C 3.5 2 A 2.8
2 B 2.7 2 C 3.2
3 A 3.3 3 B 3.0
3 C 3.4 4 A 3.0
4 B 2.8 4 C 3.3
;
proc glm data=example;
class Block Fertilizer;
model Yield = Fertilizer;
means Fertilizer / Tukey;
run;
결과를 보면 P-Value = 0.0053으로 유의수준 0.05 보다 작기 때문에 비료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Join us for SAS Innovate 2025, our biggest and most exciting global event of the year, in Orlando, FL, from May 6-9. Sign up by March 14 for just $795.